모든건 root 계정으로 진행한다. 계정 비밀번호 변경 $ passwd 계정명 계정 설정 $ vi /etc/pam.d/system-auth 패스워드 정책 확인 $ vi /etc/login.defs 최신업데이트 확인 # 레드헷 계열 $ rpm -qa *-release 방화벽 포트 확인 $ netstat -plentn 원격파일 확인 $ ls -alL /etc/xinetd.d/* | egrep "rsh | rlogin | rexec" | grep -v "grep | klogin | kshell | kexec" NTP 설정 ## ntp서비스 상태 확인 및 실행 $ systemctl status chronyd.service $ systemctl start chronyd.service ## 동기화 보기 $ chro..
리눅스 서버에 공유폴더를 만들어 윈도우에서 공유폴더를 등록해보자! 모든 건 root계정으로 진행한다. 1. samba 설치 및 방화벽 등록 $ yum update -y $ yum install -y samba samba-common-bin 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service=samba $ firewall-cmd --reload 2. samba전용 계정 생성 ### 공유그룹 생성 $ groupadd testGroup ### 공유계정 생성 $ useradd -m sams_test -g testGroup ### 공유계정 비밀번호 등록 $ passwd samba_test 3. 공유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부여 $ mkdir -p /data/Shared..
docker-mongodb를 사용중인데 timestamp날짜가 안맞아 확인해보니, 컨데이너 내부시간이 UTC로 맞춰져있었다. 그래서 타임존설정을 해줬다 1. docker 컨테이너 bash에 접속 docker exec -it container-Id bash 2. 컨테이너 내부 timezone확인 cat /etc/timezone 3. timezone 변경 및 확인 dpkg-reconfigure tzdata #===> 6 엔터 #=====> 69 엔터 cat /etc/timezone 설정 확인 4. docker 컨테이너 재시작 docker restart container-Id 다시 접속해서 타임존을 확인해보면, Asia/Seoul 로 변경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갑작스러운정전으로 gitlab서버가 다운됬다가 켜졌다. gitlab서버를 키고나서 10분정도 기다렸다가, gitlab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깐 502가 떳다.. 이때, 제일 먼저 확인한것은 gitlab서비스가 살아있는지 확인했다. 1. gitlab서비스 상태 확인 $ sudo gitlab-ctl status 확인해보니깐, gitlab서비스가 올라가고있는 상태였다. 그래서 기다렸다가 상태를 다시 확인했다. 그리고나서도 gitlab접속이 안됬다... 2. nginx 재시작 $ sudo gitlab-ctl restart nginx 그리고 기다리다 보니깐 gitlab접속이 됬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