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ssh key 생성하기
2. github에 등록하기
SSH key 생성하기
Git - SSH 공개키 만들기
많은 Git 서버들은 SSH 공개키로 인증한다. 공개키를 사용하려면 일단 공개키를 만들어야 한다. 공개키를 만드는 방법은 모든 운영체제가 비슷하다. 먼저 키가 있는지부터 확인하자. 사용자의 SSH
git-scm.com
$ cd ~/.ssh
만약 [bash: cd: /home/myuser_test/.ssh: No such file or directory] 오류가 발생한다면, 디렉터리 이동 없이 현재 위치에서 ssh-keygen 입력
ssh-keygen
연속 엔터 입력
$ cat ~/.ssh/id_rsa.pub
## ssh-rsa
## AAAATEST@ubuntu
출력되는 key값 복사
GitHub에 등록하기
GitHub: Let’s build from here
GitHub is where over 94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, together.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, manage your Git repositories, review code like a pro, track bugs and feat...
github.com
* Settings > SSH and GPG keys 선택 > New SSH key 버튼 선택
* 출력된 ssh key 값을 넣고 ,tittle을 입력한 뒤 ssh key 생성
이렇게 key를 등록하면, 어디서든 git에 접속할 수 있다.
git설치 후 제일 먼저, key를 생성해서 위의 등록 과정을 거친 후 git세팅을 하자
다음 정리는 git초기 설정 및 주요 명령어를 정리해 봐야겠다.
* git최초로 설치했을 경우
Git을 설치하고 나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하는 것이다. Git은 커밋할 때마다 이 정보를 사용한다. 한 번 커밋한 후에는 정보를 변경할 수 없다.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John Doe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johndoe@example.com
다시 말하자면 --global 옵션으로 설정하는 것은 딱 한 번만 하면 된다. 해당 시스템에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이 정보를 사용한다. 만약 프로젝트마다 다른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싶으면 --global 옵션을 빼고 명령을 실행한다.
'개발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/Gitlab- 오류] 502 -GitLab is taking too much time to respond. (0) | 2023.10.31 |
---|---|
[gitlab] git-runner 설치 및 등록 (1) | 2023.05.16 |
[gitlab] 백업하기(backup) (0) | 2023.01.06 |
[git] .gitignore 변경 후 반영하기 (0) | 2022.12.01 |
[gitlab] gitlab 도메인 변경 (0) | 2021.01.19 |